산후조리와 산후풍==TBS라디오
1. 이번 시간에는 걸쳐서 여성 운전자분들이 궁금하게 생각하고 있는 산후조리와 산후풍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원장님, 여성들에게 있어서 출산 후 산후조리가 중요하다고 하는데, 왜 그런가요?
의학적으로 산욕기라고 하는 산후조리기간은 개인마다 약간씩의 차이가 있지만, 대개 6-8주 정도를 말하는데, 이 기간은 출산으로 인한 상처가 완전히 낫고, 자궁과 신체의 각 기관이, 임신 전의 상태로 회복되기까지의 기간을 뜻합니다.
그러나 뼈와 관절, 인대가 자기 자리를 찾고, 몸의 전반적인 기능들이 임신전의 상태로 회복되는 데에는, 적어도 3개월 정도가 걸리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산후조리 기간은, 아이가 백일이 되기 전까지를 진정한 산후조리 기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산후조리 기간에, 몸조리를 잘하지 못하면 불편한 증세들이 평생을 따라다니면서, 여성들을 괴롭힐 수 있기 때문에, 여성들은 출산 후에 산후조리를 잘해야합니다.
2. 그래요 제 주위에도 산후조리를 잘 못해서 고생하시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그러면 산후풍이란 말도 많이 쓰는데 산후풍이란 무엇입니까?
산모가 출산을 한 뒤에, 찬바람을 쐬거나, 찬 물로 목욕을 했거나, 또는 무거운 물건을 들어서 관절에 무리가 와서, 팔다리가 쑤시거나 관절이 시리고 뻐근하며 통증이 있는 것을 산후풍(産後風)이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팔다리가 쑤시고 아픈 것 이외에도, 산후에 생기는 여러 가지 질환들을 포괄해서, 산후풍이라고 부릅니다.
그 이유는 산후풍의 증상이, 꼭 관절이나 신체의 통증뿐 아니라, 피로, 의욕상실, 어지럼증 등의 전신증상을 수반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김병훈 아나운서 사모님 산후조리 잘 하셨는지==입덧할 때 순대가 먹고싶다고 해서 너무 늦은 시간이라서
3. 무엇보다 차가운 기운이나 관절의 무리가 산후풍의 원인이 되는군요. 그러면 산후풍의 증상은 어떤가요?
① 허리, 무릎, 손목, 발목등 전신 관절에 통증을 느낍니다.
② 신체의 일부 또는 전신이 시리거나 찬바람이 들어옴을 느낍니다.
③ 추운 것을 호소하기도 하고, 식은땀을 흘리기도 합니다.
④ 손발이나 팔다리에 저린 증상을 호소합니다.
⑤ 식욕이 없으면서, 소화장애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⑥ 늘 피로하고 두통, 구역감, 빈혈증세 등이 일어납니다.
⑦ 정신적으로 불안하거나 우울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⑧ 양치질을 하면 잇몸이 붓고, 단단한 음식을 먹을 때 저린 느낌이 난다.
4. 산후풍의 증상이 정말로 다양하군요. 한방에서는 출산 후에 몸을 회복하기 위해서 한약을 쓰는데 그 시기와 방법이 있다면서요?
산후에 한약을 복용하면, 산모의 몸에서 어혈을 빨리 풀어주고, 모자란 기운과 영양분을 공급해주어서, 산모들이 몸을 빨리 회복할 수 있기 때문에, 산후풍에 빠질 위험도 적게 만들 수 있습니다.
산후에 한약은 크게 2단계로 나누어서 처방을 하게 되는데
첫 번째에는, 출산 후 5일 사이에 어혈을 풀어주는 약을 약 7일정도 복용하게 해서, 출산으로 인해 생기는 자궁내 잔여물 등의, 어혈이 될만한 요소들을 일찌감치 풀어주고 없애주게 됩니다.
==오적산+도인,오약,현호색,홍화,
두 번째 단계는 기혈(氣血)을 보하는 처방을 사용하여, 출산으로 많이 소모되어 있는 기운과 진액과 혈액 등의 영양분을 충분히 공급해서, 산모가 더욱 빨리 회복할 수 있게 도와주게 됩니다.
==십전대보탕+ 오약,진피,==김효원피디에게 약 지어드리는것이 소원이다
5. 산후에 한약을 쓰는 것도 다 단계가 있었고 목적하는 바가 다 다르군요. 그러면 산후조리를 할 때 피해야 할 것이 있습니까?
① 심하게 신경 쓰는 것
② 힘든 일을 함부로 하는 것, 과도한 관절운동
③ 날음식, 찬음식, 딱딱한 음식을 과도하게 먹는 것
④ 찬 바람을 쐬는 것, 몸을 찬 곳에 노출시키는 것.
⑤ 과도하게 땀을 내는 것
6. 주의해야 할 것을 잘 지키면서 조리를 해야 되겠네요. 그런데 산모의 방에 가 보면 방이 무척이나 뜨거운 것을 경험하게 되는데 정말 방은 무조건 뜨거워야 하나요?
아닙니다. 산모의 방안온도는 20-22도, 습도는 40-60%가 적당한데요. 너무 뜨겁게 해서 땀을 너무 많이 내게되면 체내의 수분이 부족해져서 탈수증상이 일어나는 등, 오히려 산모가 더 피곤해할 수 있습니다. 잘 때 따뜻한 정도가 적당합니다.
다만 찬바람이 방으로 들어와서, 직접적으로 쐬는 것은 좋지 않은데, 출산으로 인해서 이완된 관절들과 자궁이 원래 자리를 잡는 도중에, 급격한 온도변화나 외부의 나쁜 기운인 사기(邪氣)가 침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뜻한 방안에서 방안 공기는 적절히 환기시키고, 이부자리는 청결히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7. 방안의 온도가 적정한 것이 좋군요. 그리고 땀을 푹 내야 산모에게는 좋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출산을 하게 되면, 임신 기간 동안 불어난 몸의 체액들이 서서히 빠지기 시작하기 때문에 땀이 자연적으로 많이 나기 시작합니다.
꼭 땀을 많이 빼야 한다고, 방을 아주 덥게 하는 분들이 계신데요. 한의학에서는 땀은, 혈액과 근원이 같다고 해서, 땀을 억지로 많이 흘리는 것은, 피를 흘리는 것과 같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출산 하신 이후에 땀을 억지로 많이 흘리는 것은, 체액의 지나친 손실로 탈수 증상이 오기도 하고, 수유에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까, 억지로 땀을 낼 필요는 없습니다, 땀을 흘릴때 속옷은 오한기를 느끼지 않도록 면으로 된 옷을 자주 갈아입어서 청결을 유지하면 좋습니다.
8. 과도하게 땀을 흘리는 것은 역시 좋지 않군요. 또 운동은 물론, 움직이지 말아야 한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출산 후 3-4일간은 누워서 지내는 것이 좋습니다. 수유와 식사를 할때 앉아 있고, 아기를 오래 안고 있다든지 들고 있는 것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너무 장기간의 안정은, 복직근의 이완과 자궁의 후굴을 가져와서, 오로 배출지연과 기력 회복을 더디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산후 1주일 후부터는 가볍게 집안을 걸어다니고, 산후 체조를 20분정도 가볍게 하는 것도 좋습니다.
9, 출산하고 나면 대게 친정 어머니께서 산모한테 꼭 해주시는 것이 호박, 가물치 같은 거잖아요 그런데 이런 음식은 어떤 효능이 있습니까 ?
호박은 한약명으로 남과(南瓜)라고 하는데요, 이뇨작용(利尿作用)과, 몸을 보하는 성분들이 많이 들어있어서, 몸 안에 쌓여 있는 수분을 소변으로 배출시켜 주면서, 영양을 보충해주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몸에 어혈이 많은 산모들의, 산후조리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호박의 당분은 소화 흡수가 잘되기 때문에, 위장이 약하고, 마른 사람에게는 부식 뿐만 아니라, 간식으로도 아주 좋습니다.
하지만 임신 중에 체중이 정상보다 늘지 않았다거나, 평소에 몸이 많이 마른체질의 산모들이, 너무 오랫동안 드시면 오히려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산후에, 신장에 문제가 있어서 부종이 생기는 경우에는 꼭, 민간요법에 의지하지 말고, 한의사나 의사의 진찰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가물치는, 동의보감에서는‘여어’라고 하는데, “성질이 차고[寒] 맛은 달며, 부은 것을 내리고 소변을 잘 나가게 한다”고 하였습니다.
가물치는, 저지방 고단백식품이라서, 출산 후에 떨어진 기력을 보충해서 산모가 몸을 빨리 회복하는데는, 큰 효과가 있지만, 산모의 몸이 찬 경우에는, 소화장애를 유발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경우는 성질이 찬 가물치보다는, 성질이 따뜻한 잉어가 더 낫다고 할 수 있죠.
10, 산후에 좋다고 하는 호박이나 가물치같은 음식도 체질을 가려서 드시는 것이 좋겠네요. 그리고 모유 수유 중에는 한약을 드시면 어떻습니까?
모유 수유 중에 복용하는 한약은, 출산으로 인해서 약해진 기운을 북돋고, 산모의 면역력을 증강시켜주는데, 건강한 산모의 모유가, 병약한 산모의 모유보다 아이에게 더 좋은건 당연하겠죠?
그래서, 산모가 모유를 수유할 때, 산모의 건강상태에 따라서 한약을 드시는 것은, 산모뿐만 아니라, 아이에게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유 수유 중이기 때문에, 너무 강한약이나, 아이에게 부담이 되는 약은, 좋지 않기 때문에 수유중의 산모는, 반드시 한의사와 상의를 해서 약을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11, 모유 수유 중에 쓰는 한약 역시 정확한 진찰이 있어야겠네요. 산모들 중에는 젖이 부족해서 걱정을 하는 산모들이 많은데 젖이 잘 안나오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한의학에서는, 유즙의 과소분비를 결유(缺乳)라고 하는데, 젖이 부족한 원인은, 기혈허와 간기울체의 두가지입니다.
기와 혈허로 인한 젖부족은, 몸 자체가 허약해서 유즙 자체가 충분히 만들어지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몸이 쉽게 피곤하고, 자주 어지러울 수 있으며, 안면이 창백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산모 몸에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시켜서 젖을 많게 합니다.== 통유단(通乳丹)
12, 한약을 쓰면 젖을 많게 할 수 있다는 말씀인데, 어른들은 젖이 부족하면 돼지족을 삶아서 산모들에게 먹었는데 돼지족이 효과가 있습니까?
돼지족에 풍부한,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단백질은 모유의 질을 높여주고, 모유분비를 촉진 시켜주면서, 비타민B가 많이 들어있어서 산모의 피로회복에 좋습니다.
동의보감에서는 통유탕(通乳湯)이라고 해서, 돼지족과 통초, 천궁, 천산갑, 감초를 이용하여, 체력이 약한 산모의 모유분비를 촉진시킨 처방이 나와있고, 실제 임상에서도 통유탕은 효과가 좋습니다.
또한, 동의보감에서는 돼지족을 대저제(大猪蹄)라 해서, 돼지족을 달여 얼굴에 바르면 피부가 팽팽해진다고 나와있는데요. 이는 돼지 족의 껍질과 연골에 풍부한 젤라틴 성분이, 피부보습 과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13, 돼지족이 그런 효능까지 있었군요. 많은 산모들이 출산 후에 살이 안빠지는데, 언제부터 운동과 다이어트를 해야 할까요 라고 궁금한 경우도 많다면서요?
출산후에 빠지지 않는 살은, 어떻게 보면 엄마가 된 훈장이다라고 말을 하는 경우도 있죠, 출산후에 대략 8주가 지나면, 자궁이 원래상태로 돌아가기 때문에, 어느 정도 가벼운 운동을 할 수 있는 정도로 회복이 되었다고 하지만, 격렬한 운동은 개인차가 있겠지만, 100일까지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14, 출산후의 다이어트도 함부로 하지 않는것이 좋군요, 그리고 출산이 아닌 유산 후 조리는 10달을 다 채우지 않았기 때문에 산후조리처럼 하지 않아도 되는 건가요?
아닙니다. 유산을 한방에서 ‘반산’이라고 하는데 ‘밤껍질이 익어서 저절로 터지는 것이 아니고, 발로 밟아서 터뜨리는 것과 같다고 비유하였습니다.
유산이 그 정도로, 산모의 몸을 상하게 한다는 얘기지요. 따라서, 어떻게 보면 정상 출산보다, 더 산후조리가 필요합니다.
반드시 유산 후 몸조리는, 출산후 몸조리 못지않게 몸을 보하면서, 안정을 취하셔야, 건강한 다음 임신을 기대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15, 산후에 오로가 너무 오랫동안 나오는 것도 관심있게 봐야되겠군요, 입덧 때문에 고생하는 산모들이 의외로 많더라고요. 입덧이란 무엇입니까?
임신에 대한 설레임과, 기쁨이 채 가시기도 전에 나타나, 예비 엄마를 괴롭히는 것이 바로 입덧입니다. 저 멀리있는 음식만 봐도, 구역질이 나는 것을 막을 수가 없을 정도입니다.
한의학에서는 입덧을, 임신오저라고 합니다. 오저(惡阻)는, 음식을 싫어하고 음식을 멀리 한다는 뜻으로, 입덧의 증상을 병명으로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평소 비위가 허약한 사람이, 임신을 하게 되면 태기(胎氣)가 상역(上逆), 즉, 거꾸로 올라와서, 위장의 소화기능이 떨어져서 입덧을 하게 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보생탕, 안태음, 등을 사용하여 비위를 강하게 하고 태기를 안정시키는데, 약을 복용할 때는 한 번에 다 마시면 토할 수 있으므로, 한 모금씩 조금씩 나눠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16. 소화기가 약한 분들이 입덧이 생기기 쉽군요. 입덧을 줄여주고 산모 건강에 좋은 민간요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① 해삼 : 해삼은 칼슘과 조혈성분인 철분이 많아서 성장기의 어린이나 임산부에게 좋은 식품이며, 콘드로이친 성분이 있어서, 임산부 영양보충에 너무 좋고, 입덧과 유산을 예방하는데 좋습니다.==해삼 생각나는것 없는지요
③ 죽순 : 죽순에는 단백질·당질·지질·섬유 외에 칼슘·인·철 등이 함유되어 있는데,태아를 편안하게 해주는 안태작용이 아주 뛰어 납니다==죽순된장국
자연상태의 죽순을 더운물에 10분 정도 담가 우려낸 뒤 흐르는 물에 씻은 후 냉장고에 보관, 하루 20g씩 끓여 차처럼 수시로 복용하면 입덧 뿐 아니라 산모의 전반적인 건강 개선에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