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염 - KBS2라디오
퇴행성 골관절염은 중년 이후 병원을 찾는 가장 흔한 질환 중의 하나로, 45세 이상이 되면 약 1/3 정도가 퇴행성 골관절염의 증상을 경험하고 65세 이상의 어르신들의 통증에 있어서 가장 많은 원인이라고 하는데요. 오늘은 관절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관절염이란 무엇입니까?
관절염이란 뼈들이 만나는 관절에 염증성 변화가 생기는 질환을 말하는데요, 그 종류만도 100여 종에 달합니다. 그 중에서도 퇴행성 관절염이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류마티스 관절염, 그 외 통풍성 관절염, 결핵성 관절염 등이 있습니다.
한방에서보는 관절염은, 나이가 들수록 근육․인대를 주관하는 간장(肝臟)과, 뼈․골수를 주관하는 신장(腎臟) 기능이 쇠약해지기 때문에, 관절에 충분한 영양분 공급이 안되는 틈을 타서,풍, 한, 습(風寒濕)의 나쁜기운이 관절에 침범하면 관절염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풍, 한, 습(風寒濕)의 나쁜 기운을 자연에 비유하여 설명하자면, 나쁜 풍은 바람이 심하면 나무들이나 식물들이 휘어지거나 뒤틀려버리고, 나쁜 한은 찬 기운이 강하면 나무들이나 자연이 얼어서 굳거나 뻣뻣해지며, 습기가 많으면 뻣뻣하거나 퉁퉁 불어버리듯이, 인체에도 風,寒,濕 의 나쁜 기운이 너무 많이 있으면, 위와 비슷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죠.
2. 관절염도 종류가 아주 많군요. 각 관절염의 증상은 어떤 것이 있나요?
퇴행성 관절염
□관절이 붓고 아프며, 만져보면 뼈가 튀어나온 것이 느껴진다.==나이
□운동한 뒤나 활동을 하고난뒤 저녁때 관절이 아프다.
류마티스 관절염
□여러 관절이 대칭적으로 동시에 빨갛게 붓고 열
□아침에 일어나면 뻣뻣하다.
통풍
□갑작스럽게 엄지발가락이 관절이 붓고 빨개지면서 심한 통증이 있다.
강직성 척추염
□허리가 자주 아프고, 아침에 일어날 때 허리가 뻣뻣
□가만 있거나 쉴 때 더 아프고, 움직일 때 덜 아프다.
3. 관절염이 있는 분들이 챙겨야할 생활요법은 어떤 것이 있나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좌식 문화의 영향으로 퇴행성관절염, 그중에서도 무릎 관절염 발병 빈도가 가장 높습니다. 실제로 우리의 일상생활에는 유난히 무릎을 구부리는 동작이 많죠.
밥상에서의 식사, 방석에 앉기, 양반다리, 온돌방 생활, 재래식 화장실 사용 등등, 관절에 부담이 가는 자세가 많은데요.
이런 생활 습관은 골반이나 대퇴골에 이상 변화를 초래할뿐더러 무릎 연골을 비정상적으로 손상시켜 관절염을 일으키기 쉽죠.
4. 관절에 심한 부담을 주는 것들을 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군요. 관절염에 좋은 한방 치료법은 무엇이 있습니까?
관절염이 있는 관절 주위의 근육과 인대의 회복을 돕고 부드럽게 해주며, 관절기능을 회복시키는데 침과 뜸이 아주 좋습니다.
관절염의 침치료 방법으로는 관절강을 직접 자극하여 연골의 퇴화를 지연시키는 방법과, 관절 주변 근육과 인대를 강화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또, 예로부터 허리나 무릎 등 아픈 부위의 혈자리에 뜸을 떠서, 뜸의 온열기능으로 관절의 기운을 북돋는 치료법을 써왔습니다.
특히, 무릎의 퇴행성 관절염에는 테이핑 요법이 크게 도움이 됩니다. 테이핑 요법은 약화된 근육과 인대의 기능을 강화시켜주며 테이프를 붙인 피부 아래의 혈액과 조직액 순환을 촉진시켜주는 장점이 있습니다.
5. 한방에서는 침과 뜸, 테이핑 요법이 관절염에 좋군요. 관절염에는 차가운 찜질이 좋은가요, 뜨거운 찜질이 좋은가요?
퇴행성 관절염에는 일반적으로 따뜻한 찜질, 즉 온열치료를 실시하지만, 관절이 벌겋게 열이 나고 퉁퉁 부을 때는 염증을 가라앉히기 위해서 얼음찜질을 해주어야 합니다.
온열치료는 관절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주변 근육과 인대를 부드럽게 해주어서 강직을 막아주며, 통증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6. 부종이 있고 통증이 심할 때는 차가운 찜질, 만성적일 때는 따뜻한 찜질이 효과적이군요. 한방차 중에서 관절염에 좋은 차를 소개해주시겠어요?
1. 율무차
한방에서는 의이인이라고 부르는 율무는, 우리 몸의 관절부위로 가서 염증을 가라앉히고, 염증물질을 몸밖으로 배설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관절염 중에서도 염증이 원인이 되어서, 쑤시고 아프면서 관절이 부었을 때 효과가 좋은데, 특히 노인이나 허약자에게 효과적입니다. 소염, 진통 작용과 함께 영양가가 높아서 체력보충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2. 모과차
모과는 근육과 골격을 이루는 주요 성분인 칼슘과 미네랄, 철분 등이 풍부합니다.
동의보감에서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다리와 무릎에 힘이 빠지는 것을 낫게 한다고 기록될 정도로, 근골격계에 좋습니다. 특히 퇴행성 관절염으로 관절이 변형을 일으키고, 관절을 움직일 때마다 소리가 나거나 아파서 운동범위가 제한될 때, 큰 도움이 됩니다.
모과를 깨끗이 씻어서 씨를 뺀 뒤, 얇게 썰어서 용기에 황설탕과 함께 넣고, 밀봉해서 30일 정도 상온에 보관했다가 시럽을 3-4작은술씩 떠서 커피잔 한잔의 온수에 타서 마시면 좋습니다.
7. 염증이 심하거나 체력이 약한 분은 율무차, 관절의 변형이 생기거나 통증이 심한 분은 모과차가 좋군요. 관절염 환자의 식생활은 어떤 것이 좋습니까?
퇴행성 관절염의 원인인, 손상된 연골의 생성을 촉진하고 연골의 성분을 공급하는 식품들 위주의 식사를 권합니다. 반면 연골에 탄력을 떨어뜨려 파괴를 촉진하는 식품은 금해야 합니다.
(1) 좋은 식품
① 유제품(우유, 버터, 치즈, 요구르트) : 관절에 필요한 지방과 칼슘을 공급해준다.
② 생선(멸치, 고등어, 정어리, 연어, 넙치 등) : 관절에 필요한 단백질과 칼슘이 풍부하다.
③ 계란 노른자
④ 녹황색 채소, 해조류, 콩류, 표고버섯
(2)금기 식품
① 탄산음료(콜라, 사이다, 환타) : 뼈의 칼슘을 녹여 몸밖으로 배설시키므로 절대 금한다.
② 카페인 함유식품(커피, 초콜렛 등) : 카페인은 관절강 내의 수분을 몸밖으로 배설시키므로 가급적 피한다.
③ 튀김, 인스턴트 식품 : 기름으로 요리한 식품은 혈액과 관절을 탁하게 하여 관절염을 악화시키고, 인스턴트 식품에 방부제로 함유된 인산염은 칼슘을 몸밖으로 배설시키므로 관절염에 아주 해롭다. 또한 관절염에는 비만이 최대의 적이므로 고칼로리 식품을 피해야한다.
④ 술, 담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