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 기침, 가래 - KBS1라디오
1, 요즘 갑자기 날씨가 추워지면서 감기로 인해서 고생하시는 분들이 많은것 같은데요, 오늘은 한의학에서 보는 감기,기침,가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한의학에서는 감기가 왜 걸린다고 보는지 궁금합니다?
한의학에서는 감기를 감모(感冒), 상한(傷寒), 상풍(傷風)이라하였는데, ‘인체의 방어능력인 정기가 약해진 틈을 타서 외부의 나쁜 기운인 사기가 침범하여 감기가 생긴다’라고 생각을 했습니다.
그러니까 감기가 걸리는 원인은 외부의 환경적인 요인보다는, 우리 인체의 내적요인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거죠.
똑같은 환경에서 생활 하더라도, 어떤 사람은 감기에 걸리고, 또 어떤 사람은 감기에 안걸리고 하는데,
감기에 걸린 사람들은 인체의 방어능력인 정기가 약한사람들이고, 상대적으로 감기에 안걸린 사람들은 인체의 방어능력인 정기가 강한 사람들입니다
그래서 한방의 감기 치료의 큰 원칙은, 세 단계로 나누어서 치료를 하는데, 첫째는 외부의 사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방어능력인 정기를 강화시키는 방법, 둘째는 이미 들어온 사기(邪氣)를 바깥으로 몰아내기 위해서 땀을 내거나 열을 발산시키는 방법, 셋째는 기침, 콧물, 전신통 등 증상을 완화시키는 방법으로, 매우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치료를 해왔습니다.
2. 일반적으로 감기를 가볍게 생각하고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는 어떻습니까?
감기는 “치료를 하면 1주일, 치료를 하지 않으면 7일”이라는 말이 있듯이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아도, 자연적으로 낫는다고 생각을 하고, 치료를 하지않고 방치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적절하게 치료를 하지 않으면 폐렴, 기관지염, 중이염 같은 합병증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아무리 가벼운 감기라도, 소홀하게 생각하지 말고 항상 신경을 써서 치료를 하셔야합니다
3, 감기에 적절한 치료가 없을 때는 위험한 합병증이 생길 수도 있군요. 요즈음 감기 걸리시는 분들 보면, 기침 가래가 많던데 기침은 왜 하는겁니까?
기침과 가래의 기전을 살펴보면, 기관지에 쌓이는 이물질이 가래고, 가래를 밖으로 배출시키는 작용이 기침입니다
한의학에서는 기침을 해(咳), 가래를 수(嗽)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는 기침과 가래가 같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해수(咳嗽)라고 불렀던 겁니다.
한방에서는 이러한 해수의 원인은, 폐장(肺), 비장(脾), 신장(腎) 세 장기의 기능 이상으로 보고 있는데, 인체의 기(氣)를 순환시키는 폐장(肺臟)과, 수분 대사와 관련된 비장(脾臟)의 기능이 고장나면 기침과 가래가 발생하는데,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아서 인체 기운의 원동력인 신장(腎臟)까지 이상이 생기면 만성적인 해수로 진행된다고 보았습니다.
4, 한방에서는 기침, 가래를 해수라고 보고, 내부 장기의 기능이상에 의해 생긴다고 보았군요. 그러면 가래는 왜 생기는 겁니까?
건강한 사람은 기관지 점막에서, 하루 100cc정도의 기관지 점액이 분비되는데, 이 분비물을 무의식적으로 삼켜버리기 때문에 보통 때는 가래라는 의식을 하지 못합니다.
그러나 기관지의 염증이나, 장기간 흡연, 또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로 인해서 기관지가 자극되면 정상보다 더 많은 양의 기관지 점액이 분비되기 시작합니다.
그 결과 분비물이 100cc이상으로 넘쳐나면, 저절로 삼킬 수가 없어서 자꾸만 고이게 되는데 이것이 가래입니다. 이 가래가 기관지에 있는 신경을 자극하면 기침이 나게 되고, 기침을 함으로써 가래가 밖으로 배출되는 것입니다.
또 외부에서 나쁜 물질이 들어왔는데,기침을 통해서 가래로 뱉어내지 않으면, 이물질이 폐 속으로 들어가 폐를 상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기침과 가래는 우리 몸의 파수꾼이라고 할 수있는 것입니다.
5. 기침과 가래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군요 그런데 가래를 동반한 기침과 그렇지 않는 기침의 차이도 있을것 같은데요?
예 차이가 있죠, 기침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는데, 가래를 동반한 기침과 가래가 없는 마른 기침입니다.
보통 마른기침을 한의학에서는 건해(乾咳)라고 하는데 먼지, 알레르기성 물질, 화학물질, 온도변화, 환경변화 등에 의해 기도가 자극되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래를 동반한 기침은, 대부분 기도나 폐의 급․만성 염증 변화가 있을 때 발생하며, 질병에 따라 가래의 양상이 달라지므로 질병 진단에 중요한 근거가 됩니다.
6, 가래의 형태가 질병진단의 기준이 되는군요 한방에서는 감기 예방에 건포마찰이 좋다고 들었는데요?
건포마찰은 면역력을 강화시켜서 감기, 알레르기성 질환 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폐와 피부를 서로 연관된 장기라고 보고 있으며,이런 것을 겉과 안이라는 의미로 표리(表裏) 관계라고 말합니다. 따라서, 피부를 강화시키는 건포마찰을 통해 폐와 기관지의 건강을 되찾을 수 있는 것입니다.
손 끝에서 심장을 향해서, 발 끝에서 심장을 향해서 건포마찰을 하십시오. 건포마찰이야말로 옛날부터 감기를에방하고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 행해진 가장 훌륭한 방법 중의 하나였는데, 요즘 우리 생활에서 점점 멀어지고 있습니다.
따뜻한 방안에서 마른 수건으로, 손끝에서 에서 심장으로, 발끝에서 심장으로 따뜻한 느낌이 들 때까지 여러 번 문지르면 됩니다.
7. 그러면 가정에서 증상별로 기침 감기 가래에 좋은 요법들이 없을까요?
도라지== 한의학에서 길경(桔梗)이라고 하는 도라지는 가래를 삭이고 기침을 멎게 하는 효능, 담배를 많이 피워서 기관지가 않좋은 분들, 공기가 좋지 않는 지하 상가같은데서 일하시는 분들은, 도라지 차나 도라지 반찬
칡차== 초기 감기 증세로 열이 있고, 오한, 두통, 콧물 뒷목이 뻣뻣하면서 근육통
배찜==오래 기침을 하면서 미열이 있고 기운이 떨어지는 분들
무시럽== 기침을 오래하고 소화가 잘 되지 않을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