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3라디오] 출발, 멋진 인생 - 구안와사
 
 글쓴이 : 이광연한의원 (115.94.92.18)  lky@lky.lky  
조회 : 9172 

구안와사(안면신경마비)===KBS3라디오

 

 

1. 입이 돌아가는 안면신경마비, 우리가 흔히 구안와사라고 하는데요. 요즈음 구안와사로 한의원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고 들었습니다. 구안와사는 무엇입니까?

 

구안와사 (口眼喎斜), 안면신경마비, 와사풍 다 같은 말인데요. 말 그대로 입과 눈이, 한쪽으로 돌아가는 질환인데, 얼굴 표정근육의 운동을 조절하는, 안면신경이 마비되어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안면신경마비는 연령적으로는 노년층에서 주로 발생하지만, 요즈음은 젊은이나 어린아이들, 임신부에게서도, 잘 발생할 정도로, 성별이나 연령에 무관하게 발생합니다.

 

 

2. 어르신 뿐만 아니라 젊은 분들에게도 올 수 있군요. 한의원에 구안와사로 오시는 분들은 처음에 어떤 증상으로 오시나요?

 

어느날 아침, 평상시처럼 세수를 하려고 화장실로 가서 양치질을 하는데, 그때, 한쪽 입가이 주르르 흘러내려서, 조금은 이상하다라고 싶지만, 다시 한번 을 들이키면서, 입술을 오무리는 순간, 다시 이 흐르는 것입니다.

 

얼굴을 쓰다듬으면서 거울을 보니까, 얼굴 한쪽이 일그러져 있고, 눈과 입이 마음대로 움직이지 않으며, 안면이 한쪽으로 쏠려 있음을 확인하게 되고, 크게 당황해서 오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계절적으로는 환절기 겨울철, 봄, 가을에 많이 발생 합니다

 

 

3. 구안와사가 환절기에 많이 나타나는군요. 그러면 한의학에서는 구안와사는 왜 온다고 보고 있습니까 ?

 

한의학적으로, 구안와사가 생기는 원인은 아주 다양하지만 사려과다(思慮過多-스트레스), 노역태과(勞役太過), 풍한사(風寒邪-갑자기 찬바람을 쐴 때), 음식상(飮食傷-음식을 잘 못 먹거나 과식하여 비위을 상했을 때)

 

이 중에서 가장 해야 할 것은 사려과다 스트레스입니다. 스트레스를 받은 상태에서 과로하게 되면 심신피로하여, 기력면역력 떨어지면서 구안와사가 되기 쉽니다.

 

실제로 며칠씩 과중업무지친 상태에서 구안와사가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찬바람을 쐬는 것도 좋지 않고, 과음이나 과식무절제섭생구안와사 원인이 됩니다.

 

 

4. 안면신경마비는 아주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 되는군요, 그러면 안면신경마비의 증상은 어떻게 나타납니까?

 

사람얼굴에는 약 80개 정도근육이 있는데, 이 근육들이 조화를 이루어서 약 7000여 종류의 표정을 짓게 됩니다.

 

(1) 입술 다물거나, 휘파람을 풀 수 없고, 음식을 씹을 때 마비된 쪽에, 음식고여서 씹기가 불편하며, 음식이나 마비으로 흐르기도 합니다.

 

(2) 이마 주름이 없어지고,

 

(3) 을 완전히 감을 수가 없어서, 눈물이 나기도하고 안구건조증결막염이 생기기도 한다.

 

(4) 일부는의 앞쪽 2/3 미각이 없어지기도 한다.

 

 

5. 안면신경마비의 원인에 따른 뇌 쪽에 문제가 되는 중추성과 뇌 이하 부위에 문제가 되는 말초성으로 나눈다는데요.

 

뇌쪽에 문제가 있어서 생기는 구안와사를 중추성이라고 하고, 뇌 이하 부분에 문제로 인하여 생기는 구안와사는, 말초성이라고 합니다.

 

중추성중풍(뇌출혈이나 뇌경색)과 같은 뇌질환이나, 외상으로 인해서 안면신경마비된 경우로, 전체 안면신경마비 환자의 약 10% 정도입니다.

 

말초성은 뇌 이외의 부위에서, 안면신경이 장애를 받아서 마비가 된 경우로, 얼굴 외에는 증상이 없습니다. 말초성은 중추성에 비해서 젊은이들에게 많은데, 증상이 가볍고 예후도 좋은 편입니다.

 

안면신경마비 환자의 90%가 말초성이고, 그 중에서도 바이러스가 침범되어서 발병하는, 벨마비가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6. 안면신경마비가 오면 중풍인가 걱정을 많이 하는 경우를 보았는데 꼭 중풍은 아니군요?

 

갑자기 입이 돌아가면, ‘이러다 중풍 오는 것은 아닐까’라며 걱정을 하게 되는데, 물론 중풍이 오면 입이 돌아갈 수 있지만 입이 돌아갔다고 해서, 모두 중풍이 오는 것은 아니며, 또 대부분의 구안와사는 중풍과 무관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구안와사가 왔을 때, 중풍인지 아닌구별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얼굴을 제외한 몸통사지증상이 있는가’입니다.

 

만약 얼굴뿐만이 아니라, 언어가 어둔해지고 , 팔․다리에도 마비증상이 와서 몸의 한쪽이 힘이 없고, 잘 걷지 못하게 되면, 중풍을 의심해야하지만, 단지 얼굴 한쪽만 마비가 온다면 중풍이 아닌, 단순한 말초성 안면신경마비이니까 안심해도 됩니다.

 

 

7. 구안와사가 왔을 때는 말초성인지 중추성인지 꼭 확인을 해야겠네요. 가끔씩 눈꺼풀이 파르르 떨리는 때가 있는데요. 이것도 구안와사의 일종인가요?

 

말씀하신 눈꺼풀이나, 혹은 입주위가 파르르 떨리는 것은, 안면경련으로서 구안와사는 다른 증상입니다.

 

한의학에서는 안면경련을 ‘(風)’으로 보지만, 이때의 (風)은 중풍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바람나뭇잎흔들리게 하는 자연 현상과 같이, 사람에게도 바람기운이 들어와 근육흔들리게 한다고 인식하는 것입니다.

 

대개 이나 입이 떨리면, ‘혹시 중풍이 오는 것은 아닌가?’라고 걱정하게 되는데, 안면경련중풍과 무관하니까, 크게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안면경련은, 혈관이 안면신경을 누르거나, 혈관들의 자극에 의해서 발생하고, 몸속에 마그네슘이 부족하거나, 신경과다, 만성피로, 잠을 충분하게 자지 못했을 때도 발생될 수 있습니다.

 

 

8. 눈이나 얼굴 근육의 경련이 중풍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군요. 안면신경마비의 경우 치료되는 것이 원인에 따라서 다르다고 들었는데요.

 

교통사고도 다 같은 교통사고가 아닌 것처럼 안면신경마비원인에 따라서 예후는 다릅니다.

중풍이나 대상포진같은, 중증 질환에 의한 경우는, 후유증이 남지만, 가장 흔한 벨마비의 경우는, 보통 95%이상 회복됩니다.

 

발병일로부터 기간

경과

발생 전 2~3일

귀 뒤 부위 통증

발생 후 2~3일

증상 악화,선생님 침맞고 더 악화가 되었어요

발생 후 7일까지

증상 고정,이러다가 영영 치료가 되지 않는가

발생 후 4~8주

환자 90% 증상 회복

발생 후 6개월

환자의90- 95% 증상 회복, 치료가 더딤

후유증기

환자의 5~10% 후유증으로 장애가 남음

 

이렇게 충분하게 설명 했음에도 불구하고, 빨리 치료가 되지 않는다고 걱정하는 환자분들도 계신데요.

 

구안와사가 오고난 뒤 신경과 치료를 받은 젊은 엄마

 

 

9. 한두번 치료로 구안와사가 낫는 것이 아니군요. 꾸준히 치료를 받아야겠습니다. 얼굴이 틀어진 지 2년이 넘었습니다. 다시 좋아질 수 있을까요?

 

일반적으로 1년이상이 지난 구안와사는, 완전히 돌아오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뇌 문제나, 혹은 신경이 손상을 입은 경우가 많기 때문인데요. 간혹 2~3년 이후에 다시 좋아지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완벽하게 치료되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10. 안면신경마비가 오면 너무 당황한 나머지 어디에서 어떻게 치료를 받아야 하는지 우왕좌왕 하는 경우가 많은데 환자를 위한 치료 지침은요?

 

구안와사가 처음 나타나면, 환자들은 한의원을 가야하는지 병원을 가야하는지 망설이게 되는데, 안면신경마비는 저 개인적견해로는, 한방양방을 동시치료하는것이 좋습니다.

 

특히 발병 초기치료적절히 받았느냐에 따라서, 후유증이 차이가 나고, 치료 결과가 달라지는데, 만약 초기 치료를 적절하게 하지않으면, 말초성이라 하더라도 치료기간길어지고, 그 흔적얼굴에 남을 수 있습니다.

 

 

11, 안면신경마비가 풀리기 위해서는 병원치료 뿐만 아니라 얼굴 마사지나 지압, 안면근육 운동 등 자신의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할 것 같은데요. 실제로 병원치료 외에 자신이 신경 써서 관리하는 사람이 치료 속도가 훨씬 빠르고, 후유증도 적게 남는 다면서요.

 

**얼굴 마사지

안면 신경마비환자는, 얼굴을 자주 문지르고 자극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침, 저녁으로 세수를 한 후 오일이나 마사지 크림을 바르고, 네 손가락 지문부위로 안면신경이 마비된 쪽마사지를 해줍니다.

마사지 전뜨거운 물수건으로, 찜질을 해주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안면근육 운동

(1) 감았다가 크게 뜬다.

(2) 크게 벌려 또박또박아, 에, 이, 오, 우’ 발음을 한다. .

(3) 마비된 쪽 치아로을 씹는다.

 

① 눈을 보호하기 위해서, 외출 시 잠잘 때는 안대를 착용한다.

 

12. 얼굴을 자주 마사지 하고, 안면 운동도 해주고, 몸을 건강히 해야 빨리 낫는군요. 안면신경마비의 한방요법은 어떤 것이 있습니까?

(1) 한약요법

한의학에서는, 인체약한 틈을 타 풍사(風邪)와 한사(寒邪)가 침범하여, 구안와사 발생한다고 인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발병때는, 인체의 원기를 붇돋아줘서 풍사(風邪)와 한사(寒邪)를 인체 밖으로 내보내고, 얼굴기운소통시키는, 한약 처방하는데, 그 대표 처방이 오약순기산입니다.

 

♣ 오약순기산 : 마황, 진피, 오약 각6g, 천궁, 백지, 백강잠, 지각, 길경 각4g, 건강 2g, 감초 1.2g, 생강 3조각, 대추 2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