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2라디오] 신바람 세상 - 한약에 대한 궁금증
 
 글쓴이 : 이광연한의원 (115.94.92.18)  lky@lky.lky  
조회 : 9785 

한약에 대한 궁금증==KBS2라디오

 

양약을 먹을 때는 금기 음식이 많지 않지만 한약 먹을 때 음식을 가려 먹으라는 것이 너무 많아서 한약 먹기가 겁난다는 말을 하는 분들이 종종 있는 것 같은데요, 이번시간에는 한약을 드실 때 금하는 음식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원장님 한약은 가려서 먹는 음식들이 많죠 ?

 

그렇습니다. 한약을 드실 때는 무, 돼지고기, 닭고기, 녹두, 밀가루 같은 음식은 드시지말아야 한다는 말씀을 많이 들었을텐데요.

 

한약에는 들어간 약재에 따라서 함께 먹으면 안 되는 금기음식이 있었는데, 이러한 금기음식의 대부분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또 그런 음식을 먹지않으면 또 먹을 음식이 없는 경우가 많죠

 

그래서 약을 챙겨 먹이는 것보다도, 음식을 가려 먹이는 것이 더 어렵다고 말씀을 하시는 분들이 종종 계십니다

 

 

2, 그러면 원장님 한약에는 왜 이렇게 금기음식이 많은 것일까요?

 

한약에 금기 음식이 많은 것은, 치료효과를 높이고,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 인데, 다음과 같은 이유로 특정 음식을 금하기도 합니다.

 

첫째, 한약성질 때문입니다. 한방에서는 환자진찰하고 나서 환자한열(寒熱) 상태에 따라서 약재 한열(寒熱)을 가려서 처방을 합니다.

 

한의학에서는 음식도 한약처럼 한열(寒熱)의 성질이 있기 때문에, 음식을 먹을 때도 가능하면 비슷한 성질의 음식을 먹는 것이 좋고, 반대의 성질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몸이 차가운 사람이 따뜻한 성질의 약을 복용할 때, 지나치게 찬 음식을 먹으면 약효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찬 성질의 음식은 삼가하라고 하는 것입니다.

 

 

3, 환자 증상의 한열 상태와 처방 약재, 음식의 성질을 모두 고려하여 금기음식을 결정하는군요 그러면 또 다른 이유는요?

 

둘째, 한약복용할 때 어떤 음식들이 한약 소화, 흡수, 대사속도영향을 주어서, 효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환자의 증상과 약재에 따라서, 금해야 하는 음식의 종류는 매번 달라지기도 하지만, 그러나 일반적으로 지나치게 찬 음식, 익히지 않은 날 것, 기름진 음식, 지나치게 맵거나 자극성이 강한 음식, 과음, 흡연 등은 공통적인 금기입니다

 

금기는, 오랜 세월을 거치는 동안 한방이론한의사경험에 의해 이루어져 온 것이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한의사지시에 따르는 것이 현명복용 방법입니다.

 

 

4, 그러면 한약을 먹을 때 금하는 대표적인 몇 종류만 말씀해주시겠어요

 

⑴ 한의학에서는 돼지고기는 찬 성질이 기 때문에 몸이 찬 사람의 경우는 설사를 일으킬 수 있고, 더운약을 복용시 돼지고기의 찬 성질이 약효를 줄일 수 있습니다.

 

⑵ 한의학에서는 닭고기더운 성질이 있기 때문에, 이 뜨거운 사람의 경우에는하는 것이 좋고. 차가운 약을 복용할 때 닭고기더운 성질약효를 줄일 수 있습니다.

 

 

5, 돼지고기는 찬 성질을 가지고 있고 닭고기는 더운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반된 약을 쓸 때는 피해야되는군요. 그러면 다른 금기음식은요

 

⑶ 밀가루 음식은 위장병을 앓고 있거나 위가 약한 사람들은 소화에 부담을 줄 수있기 때문에 금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 음식과 커피, 콜라

 

이런 자극성식품은 위와 장이 약한 사람들의 경우에는 소화에 부담을 주고, 한약과 함께 드시면 소화흡수가 잘 안될 수 있습니다.

 

양약을 드시고 계실때는 한약1시간정도시간 간격을 두어서 복용하시되, 반드시 의사한의사상의하여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간기능떨어뜨리기 때문에 한약 복용 중에는 가급적 하는 것이 좋습니다.

 

 

6, 흰머리 많이 난 사람을 보면 농담으로 한약 잘못먹었어? 라고 할 정도로 한약을 잘못 먹으면 정말 흰머리가 납니까? 그리고 한약을 먹을 때 무를 먹으면 흰머리가 생긴다는데 정말 흰머리가 생기나요?

 

사람들한약 지어가면서 가장 많이 하는 질문이 ‘원장님, 한약 먹을 때 를 먹어도 되나요?’라는 질문입니다. 이는 ‘한약 먹을 때 를 먹으면 흰머리가 생긴다’라고 하는 속설 때문인데, 전혀 근거 없는 이야기입니다.

 

속설근원을 살펴보면, 한약재숙지황 무우나복자(무씨)의 나쁜 궁합에서 비롯된 것인데, 숙지황 보혈(補血)작용이 매우 뛰어난 약재인데, 단점 소화가 잘 안 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숙지황이 들어가는 처방소화를 도와주는 무우씨나복자(무씨)를 배합을 했더니, 오히려 숙지황효능이 떨어지겁니다.

 

그러니까 숙지황무우씨상극관계인거죠, 그래서 숙지황이 들어간 한약을 먹을 때는 를 같이 먹지 말라고 한 것이지, 흰머리가 나는것은 아니죠

 

실제로 숙지황을 재배한 밭에 무우재배하면 무우가 잘 자라지 않습니다

 

 

7. 한약 먹을 때 녹두가 든 음식을 먹으면 안되나요?

 

한약 복용금기사항 중 ‘녹두가 든 음식을 먹지 말라’는 을 많이 들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 사항은 모든 한약에 해당되는 것이 아닙니다.

 

녹두성질서늘하며, 약물독성해독시키는 작용이 있어서 일부 한약 약효감소시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를 들어서, 차가체질사람기능 개선을 위해서, 따뜻한약을 먹을 때, 녹두를 먹으면 녹두 차가운 성질로 인해서, 약효가 떨어질 수있습니다.

 

그러나, 이 많은 사람은 오히려 녹두를 먹게 되면, 한약상승 작용을 일으켜서 을 떨어뜨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아토피 피부염, 여드름과 같은 염증 질환한약을 먹으면서 녹두를 같이 먹으면 염증을 가라앉히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8, 그러면 원장님 이런 금기음식을 먹었은때 한약을 계속 먹어야하나요, 아니면 일시 중단을 해야합니까?

 

사회생활을 하는 경우 금기사항을 지키기 힘든 것이 현실입니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금기음식을 먹었을 때는 약효가 떨어질까 봐 오히려 한약을 먹지 않고 건너뛰는 경우도 있는데, 그것보다는 금기음식을 먹었더라도 한약은 제때 챙겨먹는 것이 더 좋습니다.

 

물론 금기음식을 지키는 것이 좋겠지만, 어차피 건강해지려고 을 먹는 것인데 금기음식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으면 오히려 정신건강가 되기때문에 너무 금기음식구애를 받지 않아도 될 것입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