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안와사(안면신경마비)===CBS라디오
1. 입이 돌아가는 안면신경마비, 우리가 흔히 구안와사라고 하는데요. 요즈음 구안와사로 한의원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고 들었습니다. 구안와사는 무엇입니까?
구안와사 (口眼喎斜), 안면신경마비, 와사풍 다 같은 말인데요. 말 그대로 입과 눈이, 한쪽으로 돌아가는 질환인데, 얼굴 표정근육의 운동을 조절하는, 안면신경이 마비되어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안면신경마비는 연령적으로는 노년층에서 주로 발생하지만, 요즈음은 젊은이나 어린아이들, 임신부에게서도, 잘 발생할 정도로, 성별이나 연령에 무관하게 발생하고 주로 겨울철이나 환절기때 많이 발생합니다
2. 구안와사가 환절기에 많이 나타나는군요. 그러면 한의학에서는 구안와사는 왜 온다고 보고 있습니까 ?
한의학적으로, 구안와사가 생기는 원인은 아주 다양하지만, 사려과다(思慮過多-스트레스), 노역태과(勞役太過), 풍한사(風寒邪-찬바람), 음식상(飮食傷-음식을 잘 못 먹어서)
이 중에서 가장 피해야 할 것은, 사려과다 즉 스트레스입니다. 스트레스를 받은 상태에서 과로하게 되면 심신이 피로하고, 몸의 기력과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구안와사가 되기 쉽니다.
실제로 며칠씩 과중한 업무로 지친 상태에서 구안와사가 오는 경우도 많고, 찬바람을 쐬는 것도 좋지 않고, 과음이나 과식 등 무절제한 섭생도 구안와사의 원인이 됩니다.
3. 안면신경마비는 아주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 되는군요, 그러면 안면신경마비의 증상은 어떻게 나타납니까?
사람의 얼굴에는 약 80개 정도의 근육이 있고, 이 근육들이 조화를 이루어서,약 7000여 종류의 표정을 짓게 되는데, 가장 큰 변화는 얼굴의 표정이 변한다는 겁니다
(1) 입술을 꽉 다물거나, 휘파람을 풀 수 없고, 음식을 씹을 때마다 마비된 쪽에, 음식물이 고여서 씹기가 불편하면서, 음식이나 물이 마비된 쪽으로 흐르기도 합니다.
(2) 이마 주름이 없어지고,
(3) 눈을 완전히 감을 수가 없어서, 눈물이 나기도하고 안구건조증과 결막염이 생기기도 한다.
(4) 일부는 혀의 앞쪽 2/3 미각이 없어지기도 한다.
4.안면의 표정을 지을 수 없는것이 가장 불편한 증세군요 일반적으로 안면신경마비가 오면 중풍인가 걱정을 많이 하는 데 어떻습니까?
갑자기 입이 돌아가면, ‘이러다 중풍 오는 것은 아닐까’라며 걱정을 하게 되는데, 물론 중풍이 오면 입이 돌아갈 수 있지만, 입이 돌아갔다고 해서, 모두 중풍이 오는 것은 아니며, 또 대부분의 구안와사는 중풍과 무관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얼굴의 변화뿐만 아니라, 언어가 어둔해지고, 팔․다리에도 마비증상이 와서 몸의 한쪽이 힘이 없고, 잘 걷지 못하게 되면, 중풍을 의심해야하지만, 단지 얼굴 한쪽만 마비가 온다면 중풍이 아니니까 안심걱정을 안해도 됩니다.
뇌쪽에 문제가 있어서 생기는 구안와사를 중추성이라고 하고, 뇌 이하 부분에 문제로 인하여 생기는 구안와사는, 말초성이라고 합니다.
중추성은 중풍(뇌출혈이나 뇌경색)과 같은 뇌질환이나, 뇌의 외상으로 인해서 안면신경이 마비된 경우로, 전체 안면신경마비 환자의 약 10% 미만입니다.
말초성은, 뇌 이외의 부위에서 안면신경이 장애를 받아서 마비가 된 경우로, 얼굴 외에는 증상이 없고 젊은이들에게 많은데, 증상이 가볍고 예후도 좋은 편입니다.
안면신경마비 환자의 90%이상이 말초성이고, 그 중에서도 바이러스가 침범되어서 발병하는, 벨마비가 대부분을 차지하죠
5. 구안와사가 왔을 때는 말초성인지 중추성인지 꼭 확인을 해야겠네요. 가끔씩 눈꺼풀이 파르르 떨리는 때가 있는데요. 이것도 구안와사의 일종인가요?
말씀하신 눈꺼풀이나, 혹은 입주위가 파르르 떨리는 것은, 안면경련으로서 구안와사는 다른 증상입니다.
한의학에서는 안면경련을 ‘풍(風)’으로 보는데 이때말하는 풍(風)은 중풍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바람이 나뭇잎을 흔들리게 하는 자연 현상과 같이, 사람에게도 바람의 기운이 들어와서 근육을 흔들리게 한다고 인식하는 것입니다.
대개 눈이나 입이 떨리면, ‘혹시 중풍이 오는 것은 아닌가?’라고 걱정하게 되는데, 안면경련은 중풍과 무관하니까, 크게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안면경련은, 혈관이 안면신경을 누르거나, 자극에 의해서 발생하고, 몸속에 마그네슘이 부족하거나, 신경과다, 만성피로, 잠을 충분하게 자지 못했을 때도 발생될 수 있습니다.
6. 눈이나 얼굴 근육의 경련이 중풍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군요. 안면신경마비의 경우 치료되는 것이 원인에 따라서 다르다고 들었는데요.
안면신경마비의 원인에 따라서 예후는 다릅니다.
교통사고도 다 같은 교통사고가 아닌 것처럼
뇌질환이나 대상포진같은 경우는, 후유증이 남을 수도 있지만, 가장 흔한 벨마비의 경우는, 2-3개월 치료하면 보통 95%이상이 회복됩니다.
처음 치료때는 회복속도가 빠르지만, 시간이 지날 수록 더디게 치료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치료 일정을 충분하게 설명 했음에도 불구하고,빨리 치료가 되지 않는다고 걱정하는 환자분들도 많은데 구안와사는 치료할 때 어느 정도 인내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7. 한두번 치료로 구안와사가 낫는 것이 아니군요. 꾸준히 치료를 받아야겠습니다. 얼굴이 틀어진 지 1년이 넘었습니다. 다시 좋아질 수 있을까요?
안면신경마비는 무엇보다도 처음치료가 중요한 질환입니다, 일반적으로 1년이상이 지난 안면신경마비 는 상당한 노력과 인내가 필요한데요
안면 근육은 수축과 이완운동을 지속적으로 해야하는데, 마비가 오래 지속되면 근육이 점차 위축되면서, 근력도 저하되게 되어서 근육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기 때문에 치료효과가 떨어집니다
10. 안면신경마비가 풀리기 위해서는 병원치료 뿐만 아니라 얼굴 마사지나 지압, 안면근육 운동 등 자신의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할 것 같은데요. 실제로 치료 외에 자신이 신경 써서 관리하는 사람이 치료 속도가 훨씬 빠르고, 후유증도 적게 남는 다면서요.
**얼굴 마사지
안면 신경마비환자는, 얼굴을 자주 자극하는 것이 좋은데 아침, 저녁으로 세수를 한 뒤 뜨거운 물수건으로, 찜질을 해주고 오일이나 마사지 크림을 바르고, 네 손가락 지문부위로 안면신경이 마비된 쪽을 마사지를 해줍니다.
**안면근육 운동
입을 크게 벌려 또박또박 ‘아, 에, 이, 오, 우’ 발음을 한다.
마비된 쪽 치아로 껌을 씹는다.
눈을 보호하기 위해서, 외출 시나 잠잘 때는 안대를 착용한다.
11. 얼굴을 자주 마사지 하고, 안면 운동도 해주고, 몸을 건강히 해야 빨리 낫는군요. 안면신경마비의 한방요법은 어떤 것이 있습니까?
(1) 한약요법
한의학에서는, 인체가 허약한 틈을 타 풍사(風邪)와 한사(寒邪)가 침범하여, 구안와사가 발생한다고 인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발병때는, 인체의 원기를 붇돋아줘서 풍사(風邪)와 한사(寒邪)를 인체 밖으로 내보내고, 얼굴의 기운을 소통시키는, 한약을 처방하는데, 그 대표 처방이 오약순기산입니다.
♣ 오약순기산 : 마황, 진피, 오약 각6g, 천궁, 백지, 백강잠, 지각, 길경 각4g, 건강 2g, 감초 1.2g, 생강 3조각, 대추 2개
(2),침치료요법
인당, 지창, 협거, 인중
참고사항
1, 옛 어르신들 말씀을 들어보면, 찬바람을 쐬거나 찬데 누워서 자면 입이 돌아간다는데, 그게 정말인가요?
옛날에는 찬 것, 습한 것에 얼굴이 직접 맞닥뜨려 안면신경이 마비되는 일이 많았습니다. 예를 들면 차가운 돌같은데 얼굴을 대고 잠이 들거나, 찬 바람을 얼굴 한쪽으로 쏘인다거나, 차에서 에어컨을 얼굴에 직접 닿도록 켜놓고 잠깐 잠을 자고나니 입이 돌아가있다는 분들이 많았는데요. 근육의 장력이 서로 달라져서 생길 수 있습니다
2, 구안와사는 한번 치료되면 재발하지 않는 건가요?
재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오른쪽 구안와사로 침치료를 받으시고, 몇 년 후에 같은 쪽으로 증상이 오는 분도 있고, 다른 쪽으로 구안와사가 오는 분도 계십니다.
감기에 결려서 치료를 잘 받고 완치가 된 뒤에 언제든지 다시 감기에 걸릴수 있는 것처럼 안면신경마비도 재발할 수 있습니다
3, 구안와사 예방법으로는 어떤방법이 있을까요?
구안와사의 예방법으로는, 환절기에 찬바람을 직접적으로 얼굴에 쐬거나, 과로 및 피로와 스트레스를 피해서 면역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충분한 휴식과 균형 있는 식사를 하는 것이 구안와사를 예방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심신의 과로는 만병의 근원입니다.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피로가 누적되지 않도록 생활리듬을 조절하는 지혜도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