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에도 손발이 차네요==KBS1라디오
1. 여름철에도 손발이 차가운 사람이 있다는데요.
더운 여름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손발이 얼음장 처럼 차가운 수족 냉증 환자가 의외로 많은데요, 이 냉증이라고 하는것은, 신체의 특정한 부위가 유달리 차가운 증세를 말하는데, 특히 손과 발이 찬 증상을 수족냉증이라고 합니다
수족냉증은 대개, 주위 기온에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추위가 직접적인 원인이 아니기 때문에, 계절과 상관없이 증세가 1년 내내 지속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정말 발이 차가워서, 한여름에도 슬리퍼도 못신고, 양말을 신어야 되고, 또 두꺼운 이불까지 덮고 주무시고, 발을 씻을 때도 항상 뜨거운 물로 씻어야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러한 수족냉증을 가진 사람들은, 체열진단기로 냉증 부위의 체온을 측정해 보면, 다른 부위에 비해서 무려 1∼2도 정도 낮게 나타납니다.
2. 날씨가 춥지 않은데도 다리와 발이 차갑고 시린 것을 한의학에서는 어떻게 보았나요?
한의학에서 손, 발이 시리고 차가운 것은, 외부의 찬 기운으로 인해서 생기는것 보다는, 우리 인체에 있는 양기(陽氣)가 쇠약해지고, 상대적으로 음기(陰氣)가 비정상적으로 왕성해져서, 인체의 사지말단부위가 시려운 증상이 생긴다라고 본겁니다
수족냉증의 원인을 크게 분류해 보면, 신장기능의 허약, 비위장기능의 허약, 혈허 이렇게 세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요
신장허 (腎虛)== 한의학에서 신장이란 장기는 인체의 난로에 해당하는데, 신장(腎臟)의 원기가 부족해지면, 사지말단으로 열기를 보내지 못하기 때문 손발이 찬 경우
비위기허(脾虛)==비위장은 섭취한 음식물을 소화시켜서 사지말단으로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비위기(脾氣)가 약한 사람은 사지말단까지 영양분을 공급하지 못하기 때문에 손발이 차게 됩니다.
혈허(血虛)==여성들에게 많다==빈혈, 생리문제, 산후출혈, 대수술, 등으로 사지로 보낼 혈액이 부족하게 되면 수족냉증 뿐만아니라, 대개 이런분들은 얼굴에 핏기도없고, 어지러움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3. 한의학에서는 신장기능의 허약 비위장기능의 허약 그리고 혈이 부족해서 수족냉증이 생긴다고 보았군요,그러면 의학적으로 수족냉증이 생길 수 있는 질병이 따로 있습니까?
냉증은 엄밀하게 따지면 병명이 아니고, 어떤 원인 질환으로 나타나는 증세이기 때문에, 치료를 위해서는 그 원인질환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① 평소에 심리적으로 예민한 사람이나, 호르몬 변동이 심한 사람, 체온을 조절하는 자율신경 기능이 문란해진 경우.
② 빈혈이나 저혈압으로 인해서, 손발로 혈액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③ 레이노씨병이나 버거씨병처럼, 손발로 가는 혈관이 예민해지거나, 수축되거나, 막히는 경우 == 레이노씨== 찬물 손발을 담글때나, 설거지할 때, 또 냉장고를 정리할 때 손 색깔이 창백해지면서, 심한 통증이 생기는 특징이 있습니다.
④ 당뇨병, 심장병, 알코올 중독증이나 과도한 흡연
⑤ 중풍, 척추 디스크,
4. 많은 질환들이 냉증을 일으키는 군요, 그런데 남자분들 보다는 여자분들이 다리, 발의 시린 증상을 더 많이 호소하는 것 같은데요 이유가 있나요?
수족의 냉증은 아무래도, 여성에게 훨씬 더 많이 나타납니다. 초경과 임신, 출산, 등의 호르몬의 변화는 혈관의 확장과 수축에 영향을 많이 주게 되고, 특히 폐경 이후 여성들은 난소기능이 떨어지면서, 혈관기능도 같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 여성들에게 수족냉증이 많이 생기고, 스트레스나 정서적으로 예민한 것도 부분적으로 수족냉증에 영향을 미칩니다.
5. 호르몬 문제와 정서적인 원인으로 여성에게서 더 많이 나타나는 군요. 그럼 여름철에도 발이 시린 분들은 어떻게 관리하면 좋을까요?
조깅, 등산, 걷기 같은 꾸준한 운동으로, 심폐기능을 강화 시키면 수족냉증에 많은 도움이 되죠, 이러한 운동들은 혈액순환을 촉진시켜주고, 기혈의 소통을 돕기 때문이죠.
운동은, 규칙적으로 하시되, 최소 30분 이상, 일주일에 4, 5일 이상하시는것이 좋습니다
6, 꾸준한 운동이 도움이 되는군요. 또, 반신욕도 좋다던데 어떤가요?
그냥 탕에 들어가서 하는 목욕도 좋지만, 청주, 파뿌리, 양파와 같은 혈액 순환에 도움이 되는 재료를 이용한 목욕은 더 좋습니다.
37~39℃ 정도의 물을 욕조에 받은 뒤에, 청주 1.8ℓ나, 한단 분량의 파뿌리, 또는 양파 2개를 망에 싸서 넣고, 우려낸뒤 20분 정도 반신욕을 합니다.
파뿌리와 양파에는 유화알릴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자율신경을 자극해서 혈관을 확장시켜주기 때문에, 목욕을 해도 좋고, 평소에 음식으로 드서도 몸이 따뜻해질수 있습니다.
반신욕이 여의치 않다면, 족탕요법을 실시하는 것도 좋은데, 39~41℃ 정도의 따뜻한 물을, 복숭아뼈 보다 위쪽으로 3cm정도 채운 뒤에, 20분정도 담그고 있으면서, 물이 식으면 더운물을 조금씩 보충해주면 됩니다.
7, 여러 재료를 이용한 목욕과 족욕도 도움이 되는 군요. 수족냉증에 도움이 되는 음식같은 것도 있을까요?
부추==대표적으로 성질이 따뜻한 부추를 꼽을 수 있는데, 부추는 씨를 뿌리고 난 뒤에, 관리를 하지 않아도 잘 자란다고 해서 일명 게으름뱅이 풀 이라고도 합니다
본초강목에서 보면, 부추는 인체 에너지의 근원인 신장을 따뜻하게 하고, 정기를 갈무리하여 준다고 기록이 되어있습니다.
부추의 이런 작용은, 매운 맛을 내는 유화알릴 성분 때문인데, 이것은 자율신경을 자극해서,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혈맥을 소통시키는 효능이 있기 때문에, 손과 발이 따뜻하게 되는 것이죠.
계피==계피의 정유성분인 시나몬 오일은, 심장의 관상동맥과 말초혈관을 확장시켜서, 많은 혈액이 손끝 발끝까지 뻗어갈 수 있는, 길을 터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손발이 따뜻해지는 것이죠.
생강==생강은 약으로도 쓰일 뿐 아니라, 차요법으로 많이 사용되는 식품인데. 생강은 성질이 굉장히 따뜻하지요
생강의 주요 성분인 zingiberol은, 심장의 수축력을 강화시켜서 말초혈관까지 혈액이 뻗어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손발을 따뜻하게 해주는 것입니다.
인삼==인삼은 성질이 따뜻하기 때문에 몸을 따뜻하게 하고, 기운을 북돋워주면서, 비위 기능을 강화시켜주는 장점이 있는데, 한방적으로 비위기능이(脾氣) 허약한 사람은 사지말단으로 영양을 공급해주지 못하기 때문에, 사지가 무력하고 냉하게 되는 것인데, 인삼을 먹으면 비위기능이 강화되면서 손발이 따뜻해집니다.
그래서 평소 수족냉증이 있는 사람 부추, 계피차, 생강, 인삼차
8. 몸이 전체적으로 차가운 냉증에는 뜸이 좋다고 하던데요.
얼음을 녹이는 것은 바로 뜨거운 열기운 이죠, 그런 의미에서 냉증에는 뜸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특히 배꼽은 인체의 난로인 신장과 연결되는 통로로서, 배꼽에 뜸을 뜨면 신장에 열기가 전달되어서 온몸으로 에너지를 발산할 수 있습니다.
구멍이 여러 개 난 뜸관을 이용해서 뜸을 뜨는것인데, 중요한 것은 매일 꾸준히 실시해야 효과가 난다는 점입니다. 손가락 발가락이 접해지는 부위를 팔풍 팔사혈이라고 하는데, 바로 이 부위에 간접뜸을 뜨는것도 좋습니다
참고
9. 오래 두고 먹을수 있게 집에서 만들어 볼 수 있는 것도 있을까요?
익모초고가 있습니다. 익모초(益母草)는 ‘ 여자를 유익하게 하는 약초’라는 이름처럼, 여성질환에 유익한 약재죠, 익모초는 자궁과 모세혈관의 혈류를 개선하는 효능이 있기 때문에, 꾸준히 장복하시면 수족냉증이 크게 호전될 수 있습니다.
익모초가 여성들을 위한 약재이지만, 수족냉증이나 저림이 있는 남성들도 좋습니다.
익모초를 조청으로 만들어서 복용하면 좋은데, 잘게 썬 익모초 600g에, 물 5ℓ를 넣고, 1시간 정도 끓여서 반으로 줄면, 약물만 걸러서 냄비에 부은 다음, 주걱으로 저어가면서, 약한 불에서 곤다.
조청처럼 걸쭉해지면 익모초고 완성. 익모초고를 냉장보관하고 하루3회, 한 스푼씩 온수에 타서 마신다. 입맛에 따라 꿀을 타서 마셔도 좋다.
10. 수족냉증은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몸을 따뜻하게 하는 식품을 섭취하면 좋을 것 같은데요. 권장할만한 음식과 피해야 될 음식을 말씀해주시겠어요?
먹어야 할 식품 |
피해야 할 식품 |
마늘, 생강, 양파, 파, 부추, 후추,
산초, 고추, 겨자,
쑥, 달래, 계피, 들깨, 쑥갓, 찹쌀
닭고기, 개고기, 염소고기
,뱀장어, 고등어, 미꾸라지
인삼차, 생강차, 꿀차, |
냉면, 녹두나 메밀 식품, 밀가루 음식
생야채,
빙과류,
돼지고기, 회, 초밥
수박, 배, 참외, 메론
맥주, 녹차, 보리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