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연한의원 이광연 박사] KBS2TV 굿모닝 대한민국 라이브 – 엉겅퀴(2021-05-24)
 
 글쓴이 : 이광연한의원 (115.94.92.18)  lky@lky.lky  
조회 : 1383 

[이광연한의원 이광연 박사] KBS2TV 굿모닝 대한민국 라이브 엉겅퀴(2021-05-24)

 

Q. 엉겅퀴라는 잡초의 이름에 대한 뜻이 있을까요?

 

엉겅퀴는 순 우리말로, 피를 엉기게 하여 멈추게 하는 효능에서 엉겅퀴라고 불렸고요. , 꽃이 열매를 맺을 때의 모양이 백발의 머리칼이 서로 엉켜있는 것처럼 보여 엉겅퀴라 부르게 되었다고도 합니다.

 

 

Q. 엉겅퀴에 대해 전반적으로 설명 부탁드립니다!

 

엉겅퀴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 전역 의 들판이나 산비탈에 자생합니다. 엉겅퀴의 줄기는 곧게 오르고 가지를 내면서 50cm에서 1m 안팎의 높이까지 자랍니다.

 

잎은 줄기를 따라 서로 어긋나게 나며, 깃털 모양의 가장자리에는 거친 톱니모양이 나고 가시가 돋아 있습니다. 꽃은 6월에서 8월 사이에 가지 끝에 자주색과 붉은색으로 핍니다.

 

 

Q. 엉겅퀴는 어떤 효능을 가졌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엉겅퀴의 실리마린 성분은 해독효과가 있는 글루타치온의 분비를 촉진하고, 간을 보호하는 효과가 뛰어납니다. 그 이외에도 혈압을 낮추거나 세균을 억제하는 효과도 가지고 있습니다.

 

 

Q. 한의학에서는 엉겅퀴가 어떻게 활용되나요?

 

동의보감에서는 엉겅퀴를 대계(大薊)라고 해서, 어혈을 풀고, 피를 토하거나 코피가 나는 것을 멈춘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 소변에 피가 나오는 것, 자궁출혈, 방광염, 피부염 등에도 엉겅퀴가 사용됩니다.

 

 

Q. 옛날에는 엉겅퀴를 어떻게 활용했나요?

 

엉겅퀴는 어린잎과 줄기, 뿌리를 식재료로 사용했는데요. 봄과 여름에 돋아나는 어린 잎은 물에 데쳐 나물로 무쳐먹습니다. 가을에 채취하는 잎이나 뿌리는 된장국에 넣어 끓여먹습니다.

민간에서는 엉겅퀴의 뿌리의 즙을 피부병이나 화상에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Q. 엉겅퀴를 이용할 때 주의사항이 있다면 어떤 게 있을까요?

 

체질적으로 몸이 차고 위장이 약하거나 설사를 하는 분들, 또 소화가 평소 잘 안되는 분들은 너무 많이 드시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목록